전역증, 다들 기억나시나요?
군 복무를 마친 후 발급받는 그 한 장의 문서, 평소에는 별로 쓸 일이 없어 보이지만 생각보다 자주 필요한 상황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공무원 시험 응시, 공공기관 및 대기업 취업, 해외 비자 신청, 군 경력 인정을 위한 보험 및 대출 상품 가입 등에서 전역증 사본 제출을 요구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하지만 전역증을 어디에 뒀는지 기억도 안 나고, 훼손되었거나 이사하면서 잃어버린 분들도 많을 텐데요.
저도 그랬습니다. 최근 취업 관련 서류를 준비하다 전역증 사본이 필요했는데, 어디에도 없더라고요.
다행히 병무청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전역증을 재발급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정말 5분 만에 신청을 끝냈습니다.
오늘은 저처럼 전역증이 필요한 분들을 위해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온라인 전역증 재발급 방법을 자세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전역증 재발급, 왜 중요할까요?
2025.03.21 - [일상정보] - 병무청 전역증 재발급 완벽 가이드 (2025): 신청 방법부터 놓치기 쉬운 서류 3가지까지
병무청 전역증 재발급 완벽 가이드 (2025): 신청 방법부터 놓치기 쉬운 서류 3가지까지
군 복무를 마치고 나면 ‘전역증’이라는 문서를 받게 됩니다. 말 그대로 내가 대한민국 국방의 의무를 다했다는 증명서이자, 다양한 사회활동에서 신분과 경력을 증명하는 공식 문서인데요.
k-trend.infozip.kr
전역증은 단순히 군 복무를 마쳤다는 증명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법적, 행정적 효력이 있는 공식 문서로 인정받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경우에 꼭 필요합니다.
- 공무원 시험 접수 시
- 기업체 및 공공기관 취업 서류 제출 시
- 해외 이민, 유학, 비자 발급 시 병역 사항 증명
- 군 경력 기반 금융 상품 가입 시
실제로 병무청에 따르면 2025년 1월 한 달 동안만 전역증 재발급 신청 건수가 11,957건에 달했습니다.
이는 2024년 전체 발급량인 12,568건에 거의 근접한 수치이며, 2024년 1월에 비해 1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처럼 전역증 재발급 수요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고, 특히 채용 시즌과 상반기 학기 전환 시기에 급증합니다. 따라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병무청 전역증 재발급, 온라인으로 5분 만에 끝내는 절차
전역증 재발급은 크게 온라인 신청과 오프라인 신청으로 나뉘지만,
이번 글에서는 가장 빠르고 간편한 온라인 신청 방법을 집중적으로 소개해드릴게요.
📌 전역증 온라인 신청 절차 한눈에 보기
단계 | 설명 |
1단계 | 병무청 누리집 접속 (https://www.mma.go.kr) |
2단계 | 본인 인증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 |
3단계 | 전역증 재발급 신청서 작성 |
4단계 | 사진 업로드 및 정보 입력 |
5단계 | 제출 후 즉시 출력 또는 우편 수령 선택 |
1. 병무청 누리집 접속
먼저 병무청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 https://www.mma.go.kr
상단 메뉴에서 ‘민원서비스’ → ‘병적증명서 발급’ 또는
메인 배너에서 ‘전역증 재교부’ 항목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어요.
2. 본인 인증
2025년부터 병무청 시스템은 다양한 인증 수단을 지원합니다.
-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
- 금융인증서
- 간편 인증 (카카오톡, PASS 등)
👉 단, 공동인증서의 유효기간이 만료되어 있으면 로그인 불가하니 미리 갱신해두시는 게 좋아요.
3. 신청서 작성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전역증 재발급 신청서’를 작성하게 됩니다.
이때 정확히 입력해야 할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 기본 인적사항
- 군번
- 소속 부대명
- 복무 기간 (입대일 ~ 전역일)
- 재발급 사유 (분실, 훼손 등)
💡 군번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 주민등록번호로 자동 조회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4. 사진 업로드
온라인 신청에서는 디지털 증명사진 파일이 필요합니다.
✅ 사진 규격 안내:
항목 | 내용 |
사이즈 | 3×4cm 또는 2.5×3cm |
배경색 | 흰색 배경 |
촬영 시기 | 최근 6개월 이내 |
파일 형식 | JPG 또는 PNG |
※ 규격이 맞지 않으면 자동으로 신청이 반려됩니다.
특히 스마트폰 셀카 등은 부적합하니, 사진관에서 촬영한 규격 사진 사용을 권장합니다.
5. 신청 완료 후 발급
모든 정보를 입력하고 신청서를 제출하면,
즉시 PDF 형태로 전역증 출력이 가능합니다.
프린터가 없다면 ‘우편 수령’을 선택해 등기우편으로 받을 수도 있어요.
처리 기간은 보통 3~5일 소요, 다만 신청이 몰리는 시기엔 7일 이상 걸릴 수도 있습니다.
전자 전역증? 앱으로도 가능합니다!
병무청 공식 모바일 앱 ‘e-병무지갑’을 이용하면,
전자 전역증을 즉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앱 설치 → 로그인 → 전자 전역증 신청
- 전자 파일 형태로 저장
- 원하면 실물 우편 발송도 신청 가능
https://www.mma.go.kr/eng/contents.do?mc=mma0003346
e - 병무지갑 소개 - 병무청 스마트폰 어플 안내 - 기타 - 병무청
www.mma.go.kr
📱 모바일 전자 전역증은 실물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며, 공공기관에서도 대부분 인정됩니다.
신청 전 꼭 체크하세요! (준비물 정리)
-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 수단
- 본인 명의 휴대폰
- 디지털 증명사진 파일 (3 ×4cm, JPG/PNG)
- 군 복무 정보 (군번, 부대명, 복무 기간)
전역증 재발급 FAQ
Q1. 전역증 재발급은 유료인가요?
아니요, 전역증 재발급은 전액 무료입니다.
Q2. 사진이 없으면 신청할 수 없나요?
네, 온라인 신청 시 디지털 사진은 필수입니다.
Q3. 군번을 모르는데 신청 가능한가요?
가능합니다. 주민등록번호로 자동 조회할 수 있습니다.
Q4. 프린터가 없어도 신청 가능한가요?
네, 우편 수령 선택 시 등기우편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Q5. 모바일 앱으로도 가능한가요?
가능합니다. e-병무지갑 앱에서 전자 전역증 발급이 가능합니다.
Q6. 대리인이 신청할 수 있나요?
원칙적으로 본인 신청이 원칙이지만, 위임장과 대리인 신분증 지참 시 가능합니다.
Q7. 인증서가 없으면 신청 못하나요?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 간편 인증 수단 중 하나는 필수입니다.
Q8. 외국에 있어도 신청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대사관 또는 국제우편(EMS)을 통한 발급이 가능합니다.
마무리 한 줄 정리
전역증은 언젠가 반드시 필요해지는 문서입니다.
재발급은 어렵지 않지만, 사진 오류, 인증 실패, 정보 누락 등으로 신청이 반려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글을 참고해 미리 준비만 잘해두신다면,
5분 만에 전역증을 온라인으로 재발급받고 안심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순간을 대비해 지금 바로 병무청 누리집에 접속해 보세요!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역증 재발급으로 미국 렌터카·호텔 25% 할인 받는 방법 총정리 (0) | 2025.03.21 |
---|---|
e병무지갑 전역증 재발급 방법 총정리: 실물 vs 디지털, 차이점부터 신청 팁까지 (0) | 2025.03.21 |
병무청 전역증 재발급 완벽 가이드 (2025): 신청 방법부터 놓치기 쉬운 서류 3가지까지 (0) | 2025.03.21 |
2025년 국가장학금, 구간별 지원금 사례 완벽 정리 (0) | 2025.03.21 |
2025년 국가장학금 vs 교내장학금 비교: 어떤 장학금이 나에게 더 유리할까?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