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2025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법: 월 187만원은 실제 얼마나 받을까?

by ktrend 2025. 3. 22.

2025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법: 월 187만원은 실제 얼마나 받을까?
2025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법: 월 187만원은 실제 얼마나 받을까?

 

2025년 새해가 밝으면서 직장인과 아르바이트생을 포함한 많은 근로자들이 가장 먼저 관심을 가지는 주제 중 하나는 바로 ‘최저임금’입니다.


특히 최저임금으로 생활을 이어가는 사람들에게는 세전 월급이 아닌, 실제로 통장에 찍히는 실수령액이 얼마인지가 중요하죠.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저임금 인상 내용부터 실수령액 계산법, 그리고 세부 공제 내역, 연봉별 실수령액 비교표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자신의 소득 구조를 이해하고 재무 계획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니, 끝까지 확인해 보세요.


2025년 최저임금 인상, 무엇이 바뀌었을까?

2025.03.22 - [일상정보] - 2025년 연봉별 실수령액 완전정복: 3,000만원부터 1억원까지 세후 월급 정확히 알아보기

 

2025년 연봉별 실수령액 완전정복: 3,000만원부터 1억원까지 세후 월급 정확히 알아보기

2025년이 시작되면서 많은 직장인들이 연봉 협상과 재무 계획을 세우기 위해 자신의 실제 실수령액을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최저시급이 드디어 1만 원을 넘어선 해로, 소득과 세금

k-trend.infozip.kr

 

2025년부터 적용되는 최저임금은 시간당 10,030원입니다. 이는 2024년 9,860원에서 170원 인상된 것으로, 인상률은 약 1.7%입니다.

연도 최저시급(원) 인상률
2022 9,160 5.1%
2023 9,620 5.0%
2024 9,860 2.5%
2025 10,030 1.7%

인상률은 과거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이지만, 시급 1만 원 시대를 공식적으로 넘긴 해라는 점에서 상징적인 의미가 큽니다.

이번 최저임금은 2025년 1월 1일부터 모든 사업장에 적용되며, 다음과 같은 근로자에게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정규직 및 계약직 근로자
  • 파트타임 및 아르바이트
  • 청소년 근로자
  • 외국인 근로자

2025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법: 월 187만원은 실제 얼마나 받을까?2025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법: 월 187만원은 실제 얼마나 받을까?
2025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법: 월 187만원은 실제 얼마나 받을까?


2025년 최저임금 기준 월급과 연봉은?

고용노동부는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월급과 연봉을 산정하고 있습니다.
이 계산은 주 40시간 근무 + 주휴수당 포함 기준, 월 209시간을 기준으로 합니다.

항목 계산식 금액
시급 고정 10,030원
일급 10,030원 × 8시간 80,240원
주급 10,030원 × 40시간 + 주휴수당 481,440원
월급 10,030원 × 209시간 2,096,270원
연봉 월급 × 12개월 25,155,240원

이 금액은 세전 기준입니다. 실제로 받는 금액을 확인하려면 4대 보험료와 세금 공제를 반영해야 하죠.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법: 얼마나 빠질까?

최저임금 월급 2,096,270원에서 공제되는 항목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계산은 부양가족 1명(본인 포함), 비과세 식대 월 20만 원 적용 기준으로 진행합니다.

📉 공제 항목 정리 (2025년 기준)

항목 비율/기준 공제 금액(월)
국민연금 4.5% 85,330원
건강보험 7.09% 중 근로자 부담 3.545% 67,220원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81% 약 8,700원 (포함됨)
고용보험 0.9% 17,060원
소득세(간이세액) 부양가족 1명 기준 16,970원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1,690원
총 공제액 약 196,970원

📌 최종 실수령액 = 2,096,270원 – 196,970원 = 약 1,899,300원

연 기준으로는 약 22,791,600원을 실제로 받게 됩니다.

2025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법: 월 187만원은 실제 얼마나 받을까?2025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법: 월 187만원은 실제 얼마나 받을까?
2025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법: 월 187만원은 실제 얼마나 받을까?

 


연봉별 실수령액 비교표 (최저임금 포함)

실수령액이 어느 정도인지 감이 잘 오지 않으시죠? 아래 표는 연봉 2,500만 원부터 1억 원까지 구간별 실수령액을 정리한 것입니다.

연봉(만원) 세전 월급 실수령액(월)
2,515 (최저임금) 2,096,270원 1,899,300원
2,500 2,083,333원 1,863,633원
3,000 2,500,000원 2,251,650원
4,000 3,333,333원 2,945,603원
5,000 4,166,667원 3,583,977원
6,000 5,000,000원 4,210,450원
7,000 5,833,333원 4,838,913원
8,000 6,666,666원 5,400,647원
9,000 7,500,000원 5,983,550원
10,000 8,333,333원 6,571,443원

🔎 참고: 실수령액은 부양가족 1명, 비과세 20만 원 적용 기준입니다.

연봉이 올라갈수록 실수령액도 늘어나지만, 그 비율은 점점 줄어듭니다.
이유는 바로 소득세가 누진세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실수령액 계산 시 고려해야 할 5가지 포인트

① 부양가족 수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소득세 공제가 커져서 실수령액이 증가합니다.
배우자, 자녀, 부모 등을 회사에 꼭 등록하세요.

② 비과세 항목

식대, 차량보조비, 육아수당 등이 해당되며, 적용 시 과세 소득이 줄어 세금도 줄어듭니다.

③ 4대 보험 요율

2025년 기준 보험료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 4.5%
  • 건강보험: 7.09% (근로자 부담 절반)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의 12.81%
  • 고용보험: 0.9%

④ 소득세율 구조

연봉이 높아질수록 세금 비율이 커지는 누진세 체계입니다.
이로 인해 실수령 비율은 오히려 낮아질 수 있습니다.

⑤ 실수령액 계산기 활용

국세청 손택스 앱, 네이버 계산기, 민간 계산기 등을 활용하면 내 연봉 기준 실수령액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 공지 의무, 사업주라면 반드시 확인하세요

모든 사업주는 매년 변경된 최저임금을 근로자가 쉽게 알 수 있는 장소에 게시하거나 안내해야 합니다.
공지하지 않으면 100만 원 이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필수 공지 내용

  • 최저임금 금액
  • 최저임금에 산입 되지 않는 항목
  • 적용 제외 대상(해당 시)
  • 효력 발생일: 2025.01.01

2025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법: 월 187만원은 실제 얼마나 받을까?
2025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법: 월 187만원은 실제 얼마나 받을까?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2025년 최저임금 실수령액은 정확히 얼마인가요?
→ 약 1,899,300원입니다. (부양가족 1명, 비과세 식대 적용 기준)

 

Q2. 최저임금 월급에서 빠지는 세금은 무엇인가요?
→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가 공제됩니다.

 

Q3. 비과세 식대를 적용하면 실수령액이 얼마나 늘어나나요?
→ 월 최대 20만 원이 비과세 되며, 세금 부담이 줄어들어 실수령액이 다소 상승합니다.

 

Q4. 부양가족을 등록하면 실수령액이 늘어나나요?
→ 네, 인적공제 덕분에 소득세가 줄어 실수령액이 증가합니다.

 

Q5. 실수령액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 계산기(국세청 손택스 또는 민간 계산기)를 활용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Q6. 아르바이트도 최저임금 적용되나요?
→ 당연히 적용됩니다. 모든 고용형태에 동일 기준 적용됩니다.

 

Q7. 실수령액 기준으로 연봉 협상하는 게 좋나요?
→ 현실적으로 유리한 협상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Q8. 최저임금 인상이 생활에 얼마나 영향을 주나요?
→ 실수령 기준으로는 월 약 35,000원 상승하며, 연 42만 원 이상 차이가 납니다.